Coding Test7 [알고리즘] 정렬 알고리즘 정렬 알고리즘은 값들을 일정한 순서로 열거하는 알고리즘을 말한다. 데이터 탐색 시 정렬된 데이터 집합은 탐색을 훨씬 효율적으로 만든다. 선택정렬 선택정렬은 데이터들 중 현재 위치에 맞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현재 위치와 교환한다. 선택정렬은 데이터의 전체를 순회하기 때문에 모두 O(n^2)의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 버블정렬 버블 정렬은 인접한 두개의 요소를 비교해가면서 정렬한다. 한번 돌때마다 마지막 요소가 정렬되는데 이에 따라 버블 정렬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성능은 떨어지지만 이미 정렬된 데이터에서는 최고의 성능을 보여준다. 버블정렬은 데이터의 전체를 순회하기 때문에 O(n^2)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지만 정렬된 데이터에서는 O(n)이 된다. 삽입정렬 삽입 정렬은 선택된 값을 앞에서부터 현재 위치까지 차례.. 2022. 10. 8. [알고리즘] 스택, 큐 스택(stack) 스택 알고리즘은 데이터를 임시저장할 때 사용하는 자료구조로 후입선출(FILO) 방식이다. 대표적으로 콜스택(call stack)이 존재 큐(queue) 큐 알고리즘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쌓아놓은 자료구조이다. 스택과는 다르게 선입선출(FIFO,LILO)의 구조이다. 2022. 10. 7. [알고리즘] 투 포인터, 슬라이딩 윈도우, 해쉬 알고리즘 투포인터(Two Pointer) 투포인터 알고리즘은 두개의 점 위치를 기록하면서 처리하는 알고리즘이다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슬라이딩 윈도우 알고리즘은 일정한 범위를 유지하며 이동하는 알고리즘이다 해쉬(Hash) 해쉬 알고리즘은 Key-Value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여 검색과 저장에 용이하다 JS에서는 Map() 메서드를 주로 사용한다. 2022. 10. 6. 섹션 2-1 ~ 2-6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5. 5. 이전 1 2 다음